전공현황
학문 분야 | 정원 | 이수 방법 | 수여 학위 | 이수 대상 |
---|---|---|---|---|
N.C.E. | (최소) 10명 (최대) 70명 |
부전공 복수전공 |
- 이학사 |
모든 재학생 |

전공 소개
이 전공은 예비교원으로서 사범대학 학생들의 AI・융합교육 및 디지털교육 역량을 강화하고, 사범대학 취업 경로 다변화를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하는 데 초점이 있다. 장차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서 점차 신규교사에 대한 학교교육 현장의 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디지털 100만 인재 양성을 목표로 모든 중・고등학교에 최소 1명의 정보 교과 교원 배치 등 정보컴퓨터교사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미래융합가상학과 복수전공 학점을 기반으로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진학을 통한 정보교과 교사 진입 경로를 확보하고자 한다.
교육 분야
- • 인공지능(AI)의 기본 원리와 기초 개념 이해를 위한 기본 교과목 운영
- 예비교원을 위한 이산수학, 프로그래밍, 컴퓨터구조, 네트워크 등 - • 인공지능(AI) 교육의 주요 개념과 컴퓨터교육에 대한 이해 교과목 운영
- 정보컴퓨터교육론, 알고리즘(전산물리), 컴퓨터 구조, 운영체제 등 - • 인공지능(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기본소양 교과목 운영
- AI시대 미래교육, 디지털시민윤리, 인공지능과 수학, 교수미디어와 학습 테크놀로지, 학습분석학의 이해, 교육콘텐츠 저작도구 등 - • 인공지능(AI)과 학급관리, 교과교육을 접목한 융합형 교과목 운영
- 원격교육과 학급관리, 융합교과교육론, 디지털학교 교육실습
진로 및 취업 분야
진로 분야 | 취업 분야 | 목표 직종 | 비고 |
---|---|---|---|
정보・컴퓨터 교사 | 중・고등학교 | 교사 | 30학점 이상의 관련 분야 교과목 이수후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으로 진학하여 교사자격증 취득 |
디지털튜터 | 초・중・고등학교 | 디지털튜터 | |
에듀테크 관련 분야 취・창업 |
에듀테크 취・창업 | 교육용 소프트웨어 개발자 |

인력 수요 전망
•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을 강화하기 위해 「중장기(2024~2027년) 초‧중등 교과 교원수급계획」(2023.4.)에 따라서 향후 정보교사 신규채용 확대 예정
- 향후 학령인구 급감에 따라서 중・고등학교 신규교원 채용규모는 지속적으로 감소 예정. 2024~2025년 신규채용을 4,000~4,500명으로 8.1~18.3% 줄이고, 2026~2027학년도는 3,500~4,000명으로 최대 28.5% 감소 예정
- 디지털 100만 인재 양성(국정과제 81)을 목표로 모든 학생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 모든 중‧고등학교에 최소 1명의 정보교과 교원을 배치 예정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25년부터 확대되는 정보교과 수업이 차질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2024년부터 선제적으로 교원 배치 예정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정보교과 수업 변동 현황>
구분 | 개정 사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
중학교 | 수업시수 34 → 68시간 | 중 1 적용 | 중 1, 2 적용 | 중 1, 2, 3 적용 |
고등학교 | 선택과목 신설 | 고 1 적용 | 고 1, 2 적용 | 고 1, 2, 3 적용 |
• 정보 관련 교사배치(국공립) 현황(’22년 기준)을 고려할 때 중기적으로 정보교사 수요 지속 증가 예상
- 전체 중․고등학교(약 3,800개교, 직업계고 제외)에 약 2,500명(순회 포함), 전체 초등학교(약 6,200개교) 중 실과 등 전담교원 약 880명 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