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현황
학문 분야 | 정원 | 이수 방법 | 수여 학위 | 이수 대상 |
---|---|---|---|---|
정보·통신공학 | (최소) 10명 (최대) 150명 |
부전공 복수전공 |
공학사 | 모든 재학생 |

전공 소개
클라우드 융합학과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다양한 산업 분야의 융합을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혁신적 인재를 양성하는 학과임. 학생들은 클라우드 기술의 기초부터 응용까지 폭넓게 학습하며, 데이터 관리,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등의 최신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구성하며, 산업 연계 교육을 통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이를 통해 졸업생들은 다양한 IT 및 비즈니스 분야에서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을 설계, 개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함.
교육 분야
- (첨단기술 역량 강화) 클라우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로서, 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다양한 분야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음. 이에 따라 클라우드융합 가상학과에서는 "클라우드 플랫폼 개론",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기초", "클라우드 응용SW개발"과 같은 과목을 통해 학생들이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첨단기술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할 예정임.
- (산업요구에 부합하는 인재양성) 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이 필요함. 현대의 기업들은 클라우드 기반의 솔루션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클라우드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 이를 반영하여 "클라우드 프로그래밍",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고급", "클라우드시스템 개발" 등의 실무 중심 교과목을 개설하여 학생들이 산업적 요구에 부응하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교육을 진행할 계획임.
- (다양한 기술과 융합) 클라우드는 단독 기술이 아니라 다양한 기술과 융합하여 가치를 창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 따라서, 클라우드융합 가상학과는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멀티 클라우드", "클라우드 AI프로그래밍"과 같은 과목을 통해 학생들에게 융합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임.
- (지속 가능한 교육 모델 구현) 클라우드 기반의 학습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 이는 "클라우드 운영", "분산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교과목을 통해 학습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환경적, 경제적 측면에서도 지속 가능한 교육 모델을 구현할 수 있게 함.
진로 및 취업 분야
진로 분야 | 취업 분야 | 목표 직종 | 설정 근거 | 비고 |
---|---|---|---|---|
(1)산업계 | ①클라우드 벤더기업 | 클라우드 솔루션 아키텍트 데브옵스 엔지니어 클라우드 보안 전문가 |
클라우드 벤더 기업에서 클라우드 인프라 설계, 운영, 보안을 책임지는 필수 직무 | |
②SI 클라우드 기업 | 클라우드 컨설턴트 프로젝트 매니저 시스템 엔지니어 |
SI 클라우드 기업에서 시스템 통합 및 클라우드 솔루션 구축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직무 | ||
③클라우드 MSP 기업 | 클라우드 운영 관리자 클라우드 지원 엔지니어 클라우드 비용 관리 전문가 |
MSP 기업에서 고객의 클라우드 환경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최적화하기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 | ||
④앱 플랫폼 기업 | 모바일 앱 개발자 UI/UX 디자이너 플랫폼 운영 관리자 |
앱 플랫폼 기업에서 사용자 중심의 앱 개발, 인터페이스 디자인, 플랫폼 운영을 책임지는 핵심 역할을 수행 | ||
(2)공공분야 | ①행정기관 등 | 공공 클라우드 관리자 공공 IT 정책 분석가 공공 클라우드 보안 전문가 |
공공분야에서 클라우드 인프라의 운영, 정책 분석, 보안 관리 등 공공 서비스의 디지털 전환과 안정성을 책임지는 핵심 직무 | |
(3)대학원 진학 | ①융합보안학과 ②데이터사이언스 학과 |
공공기관 클라우드 담당자 연구소의 연구원 등 |
산업계 뿐만 아니라 국가 연구기관에서 석사급 정보보호 전공자 수요가 높음 |

인력 수요 전망
- 클라우드 기술의 확산 및 필수화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업, 정부, 교육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IT 인프라를 혁신하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음.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추진하는 대부분의 조직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클라우드 기술을 전문적으로 다룰 수 있는 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 특히, 클라우드 기반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는 엔지니어와 보안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클라우드 기술의 세분화와 전문화
클라우드 기술은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 등으로 세분화되고 있으며, 각 영역에서 필요한 기술과 전문성이 다름. 이로 인해 각 분야의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됨. 예를 들어, 클라우드 아키텍트, 데이터 엔지니어, 클라우드 보안 전문가 등의 세분화된 직무에 대한 인력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임 -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의 클라우드 도입 확대
공공 부문에서의 클라우드 도입이 본격화됨에 따라,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및 운영에 필요한 전문 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것임. 동시에, 민간 기업에서도 클라우드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클라우드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임. -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확장과 인력 수요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이 계속해서 확장됨에 따라, 국내 클라우드 전문 인력의 해외 진출 기회도 증가하고 있음. 글로벌 클라우드 벤더들은 다양한 국가에서 클라우드 인프라를 확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국적 클라우드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는 국제적 감각과 역량을 갖춘 인력에 대한 수요가 높아질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