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프레임워크

교육목표

  • 적층제조 공정 활용 설계역량을 갖춘 첨단핵심융합인재 양성

전공 역량

전공 역량전공 역량, 세부 역량, 정의 및 달성 기준 으로 구성된 전공 역량을 나타내는 표
전공 역량 세부 역량 정의 및 달성 기준
(1) 소통역량
  • 소통 역량은 다양한 상황에서 명확하게 의사소통하고, 글로벌 환경에서의 적응력과 시민사회에서의 책임감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

① 의사소통기술
  • 효과적으로 의사를 전달하고,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며 피드백을 제공하는 능력.

② 글로벌 역량
  • 글로벌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

③ 시민사회 역량
  • 시민으로서의 책임을 이해하고, 사회적 이슈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
(2) 융합역량
  • 다양한 학문과 자원을 융합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도출하고 실행하는 능력

① 융합적 사고력
  • 다양한 학문적 관점과 지식을 결합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도출할 수 있는 사고 능력.

② 자원융합역량
  • 다양한 자원(인적, 물적, 정보적 자원 등)을 효과적으로 결합하여 최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능력.

③ 융합 수행력
  • 융합적 사고를 바탕으로 실제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물을 성공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실행 능력.
(3) 창의역량
  •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인식하고, 독창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창의적인 태도로 도전하는 능력

① 창의적 문제의식
  • 기존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능력.

② 창의적 사고
  •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혁신적인 해결책을 구상할 수 있는 사고 능력.

③ 창의적 태도
  •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새로운 시도를 하며, 문제 해결에 있어 유연하게 접근하는 태도.

진로 트랙

(1)적층 제조 엔지니어링
목표 직종 이수 목표 편성 교과목
교과목명
  • 제조 공정 엔지니어
  • 적층 제조 기계 설계자
  • 적층 제조 기술의 기초와 응용을 학습하여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을 습득한다.
  • 3D프린터활용입문
  • 제조공학
  • 위상최적설계
(2)신소재 개발
목표 직종 이수 목표 편성 교과목
교과목명
  • 신소재 연구원
  • 소재 개발 엔지니어
  • 다양한 신소재의 개발과 이를 적층 제조에 적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 프로그래밍기초
  • 적층제조소재공학
  • 고급적층제조프로세스및실습
(3)설계 및 제품 개발
목표 직종 이수 목표 편성 교과목
교과목명
  • 제품 설계 엔지니어
  • 산업 디자이너
  • 3D 모델링과 디자인 능력을 강화하여 적층 제조를 통한 제품 개발 역량을 기른다.
  • CAD
  • 적층제조자동화개론
  • 적층제조융합디자인

이수 인정 요건

이수 인정 요건이수방법, 이수학점, 소정요건으로 구성된 이수 인정 요건 안내 표
이수 방법 이수 학점(전공영역별 이수학점 이상 취득) 소정 요건
전공필수 전공선택
복수전공 2학점 40학점 42학점
  • 성적
    • 적층제조융합학과에서 이수한 모든 교과목의 성적 평점평균 1.75 이상(단, 학사학위취득 유예 학생 제외)
  • 기타
부전공 2학점 19학점 21학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