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프레임워크

교육목표

  • 에너지 변환, 전력 계통 보호 및 제어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인재양성
  • 현존하는 수차 및 펌프수차의 공학적 이해뿐만 아니라, 핵심 수차이론을 창의적으로 적용/응용하는 인재양성
  • 발전 데이터를 탐험하고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국제 감각 및 올바른 직업윤리 의식을 갖춘 인재양성

전공 역량

전공 역량전공 역량, 세부 역량, 정의 및 달성 기준 으로 구성된 전공 역량을 나타내는 표
전공 역량 세부 역량 정의 및 달성 기준
(1) 전공 지식
  • 발전소 운전에 관한 전기, 기계 및 전자공학에 대한 제반 이론 및 응용 기술을 수력발전공학의 기반 전공 지식으로 정의하며 해당 지식을 충분히 이해하고 관련 종사자와의 협업이 가능하여야 한다.

① 기초 지식
  • 기본적인 수력 시설, 복합발전, 전력계통, 수차, 발전기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② 응용 능력
  •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현존하는 발전시스템의 설계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③ 심화 능력
  • 기초지식과 응용 능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발전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안할 수 있다.
(2) 실무 능력
  • 발전소 현장에서 실질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며 현장의 관련 종사자와의 협업이 가능한 수준이 되어야 한다.

① 프로젝트 실무
  • 발전시스템, 전력, 발전기 등 도메인별 문제은행식 소규모 과제를 팀단위로 해결함으로써 이론을 실제로 적용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② 융합형 실무
  • 발전소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를 기계공학, 전기전자공학, 데이터사이언스 등 융합적 지식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③ 산업맞춤형 실무
  • 전력 제어, 수차 설계, 데이터 분석 등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현장실습으로, 해당 기업과의 협약을 통해 인턴십(단기/장기 형태)을 수행함으로써 산업체 경험을 쌓는다.

진로 트랙

산업계
목표 직종 이수 목표 편성 교과목
  • 수력/복합발전 운영 담당자
  • 수력/복합발전기 개발 R&D 연구원
  • 기계 및 전기 직군
  • 에너지변환 및 전력 계통 보호 및 제어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인재양성
  • 현존하는 수차 및 펌프수차의 공학적 이해뿐만 아니라, 핵심 수차이론을 창의적으로 적용/응용하는 인재양성
  • 전력시스템
  • 전력에너지발전공학
  • 발전데이터 및 AI
공공분야
목표 직종 이수 목표 편성 교과목
  • 전기안전관리자
  • 발전설비 사업기획
  • 신재생에너지 검사 및 지원
  • 에너지공단 등 공공 기관에서 수행하는 에너지 표준화인증, 산업육성 지원, 보급 전문가 양성
  • 차세대에너지개론
  • 차세대발전기술 세미나
대학원진학
목표 직종 이수 목표 편성 교과목
  • 수력발전용 수차 개발 연구원
  • 발전시스템 개발 연구원
  • 학습한 공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수력발전 시스템을 개발하는 전문가 양성
  • 응용유체역학
  • 수차 및 펌프수차
  • 발전데이터 및 수치해석

이수 인정 요건

이수 방법 이수 학점(전공영역별 이수학점 이상 취득)  소정 요건
전공필수 전공선택
부전공 3학점 18학점 21학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