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개요

전공현황

전공 현황학문 분야, 정원, 이수 방법, 수여 학위, 이수 대상 으로 구성된 전공현황을 보여주는 표
학문 분야 정원 이수 방법 수여 학위 이수 대상
N.C.E. (최소) 10명
(최대) 30명
부전공
복수전공
-
연기예술학사
모든 재학생

전공 소개

연기예술학과는 지성과 교양을 겸비한 미래의 예술계를 주도하는 연기예술인을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연기와 연출분야를 교육하며 연기훈련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현대적 흐름에 따라 영상미디어 뿐 아니라 인터넷 매체등 모든 매체에 대한 전문적인 연출과정을 교육시킴으로써 멀티미디어 시대와 접목된 연기예술 교육을 구현하고자 한다.

교육 분야

  • 연기예술학과는 전통적인 연극 영화의 분야만이 아니라 다매체 시대의 기술과 창조적으로 결합하는 연기예술 교육을 정립시켜 나갈 것이다.
  • 깊이 있는 소양과 풍부한 감성, 창조적 표현력을 지닌 연기예술인의 양성을 위해 인문예술 콘텐츠가 체계적으로 결합된 교육내용을 제공하고자 할 것이다.
  • 현대의 연기예술 분야는 기술, 공간, 시간, 수용방식, 표현방식이 어우러진 장치와 결합된 연기예술론에 대한 분석과 창조의 교육이 요구되며 이러한 교육내용을 제공하고자 할 것이다.

진로 및 취업 분야

진로 및 취업 분야진로 분야, 취업 분야, 목표 직종, 설정 근거 로 구성된 진로 및 취업 분야을 보여주는 표
진로 분야 취업 분야 목표 직종 설정 근거 비고
  • 공연관련 분야
공연현장 연극배우, 방송인, 뮤지컬배우, 영화배우 연기론과 매체론 관련 수업 및 실습
공연 및 영상 제작 기획 공연기획, 극단운영, 동영상 콘텐츠 창작 및 제작 연기론과 매체론 관련 수업 및 실습
교육 분야 연기 관련 교육 분야 대학교수, 연기학원 및 연극교육 강사,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TA), 리크레이션 강사, 연극치료사 등 연기론과 매체론 관련 수업 및 실습
기업 및 국공립 기관 정부 및 산하 공공 기관 국공립기관, 극장 및 각종 문화재단의 기획자 및 감독 연기론과 매체론 관련 수업 및 실습
기업 기업 홍보 관련 창작 및 제작, 마케팅 분야의 기획자, 기업관련행사 기획자 연기론과 매체론 관련 수업 및 실습

인력 수요 전망

▶ 연기예술 분야는 예술감상 기회 제공과 창의성 진작이라는 기본적 효과 이외에도 문화산업과의 융합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다매체 시대에서의 전통적인 방송 개념의 변화, 영화와 게임등 여타 문화콘텐츠와의 융합 그리고 뮤지컬의 급속한 확장 등이 보여주듯이 연기예술 분야는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연기예술에 대한 관심은 주로 작품과 관련되어 진행된 측면이 있다. 작품을 만들어내는 사람들에 대한 논의보다는 그들이 만들어내 결과물에 천착한 경향이 있었고 연기예술 전문인력 양성에 대해 대학이 무관심해 왔다는 것이다.

▶ <2020년 공연에술조사 주요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공연시설은 국공립 민간 합쳐 1028개이며 공연단체는 국공립 민간 합쳐 3972 단체에 이르고 있다. 공연시설의 연간총수입은 1,370,607 백만원, 공연단체는 1,157,165백만원이다. 또한 공연시설과 공연단체 종사자수는 64,479명(정규직 22,274명, 비정규직 42,204명)이다. 주목할만한 점은 위의 참조한 자료의 결과에 따르면 민간기획사와 공연시설의 매출액을 비교할 때 2012년도에는 민간기획사가 1,879억, 공연시설이 3,181억이었다면 2018년 부터 매출액은 역전되어 2019년도에는 민간기획사 3,867억 공연시설 3,220억원이 되었다. 민간기획사의 매출은 2년 연속 공연시설 전체의 매출액을 뛰어넘고 있으며, 이것은 티켓판매 수입 증가(13.9%, 335억 증가)와 기타 공연사업 수입의 증가(48.1%, 150억 증가)가 가장 큰 요인으로 보고 하고 있다. 그리고 2015년 177개이던 민간기획사 숫자는 2019년 430개로 5년간 243% 증가하였으며, ‘18년도 2,939명이던 민간 기획사 종사자 수도 ’19년 3,415명으로 476명 증가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의 하청에 의한 예술경영지원센터의 조사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 방송이나 영화, 인터넷 매체에서의 매출액이나 인력수요의 변화들을 충분히 보여줄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는 점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 중장기 인력수급 수정전망 2015~2025」(한국고용정보원, 2016)에 따르면, 배우 및 모델은 2015년 약 14.7천 명에서 2025년 17.7천 명으로 향후 10년간 약 3.3천 명(연평균 1.9%) 정도 로 예상하고 있다. 연기예술 분야와 연관된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으로 인식되고, 일상생활에서 여가문화를 향유하는 것이 중요해지면서 방송, 영화, 연극, 공연 등 엔터테인먼트 산업은 날로 성장하고 있다. 또한 문화콘텐츠의 경제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아진 상태여서 많은 연예기획사가 설립되고, 재능 있는 배우를 발굴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방송 및 영상 산업은 배우 및 모델의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방송산업의 경우 매체의 다양화로 방송프로그램이 다양해지고, 드라마 제작편수가 증가하면서 향후 출연 배우들에 대한 인력수요가 증가 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고, 관련 시장도 확대되면서 방송영상, 영화 관련 콘텐츠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드라마 및 방송프로그램 제작 증가에 따른 연기예술가들의 출연기회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중가요 및 방송·드라마 프로그램이 해외로 활발하게 수출되면서 다양한 부가가치를 창출되고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재능과 연기역량을 갖춘 연기예술인의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이다.